
산토끼는 대게 집토끼보다 귀가 더 길고, 뒷발이 더 크고, 다리고 깁니다. 또 다른 차이점은 산토끼는 태어날 때부터 털이 있고 눈을 뜬 채로 태어난다는 것이다. 이것은 산토끼가 생존에 있어 집토끼보다 부모에게 훨씬 덜 의존적이라는 것을 뜻한다.
산토끼의 한 종인 눈덧신토끼는 포유동물이 포식자를 피하는 다양한 수단이 무엇이 있을까?
눈덧산토끼가 광범위한 활동범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미국 북부와 캐나다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런 서식지의 크기는 이 토끼가 온갖 종류의 포식자를 상대해야 한다는 걸 의미하는것이다.
북녘이 산림 생태계에서 즉 캐나다의 최북단 구역의 산림에서 가장 흔하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이 토끼의 활동영역은 주로 침엽수로 숲을 이루고 있는 산악지역은 물론, 낙엽이 많은 Alberta, Saskatchewan 그리고 Manitoba의 숲도 포함이 된다. 기본적으로 눈덧신토끼는 다양한 산림에 적응할 수 있는것이다.
그럼에도 이 토끼는 빽빽한 덤불이 있는 지역을 선호한다고 한다, 이유가 무엇일까? 이런 덤블이 아마 토끼를 보호하고 먹이를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눈덧신토끼 한 마리의 서식지는 대략 8헥타르 정도라고 한다. 약 80,000평방미터 정도입니다. 이 영역 내에서 눈덧신 토끼가 복잡하고 서로 얽힌 통행로를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토끼가 먹이가 있는 곳과 집 사이를 쉽게 오갈 수 있는 통행로를 만들어 낸다. 여름에도 겨울에도 같은 통로를 따라 다니는데 나뭇가지등이 통로를 가로 막기 시작하면 유지관리를 시작한다고 합니다. 이 통행로는 토끼들 뿐만 아니라 다른 종들도 또한 이를 사용하지만 눈덧신토끼는 언제나 이 통행로가 어디 있는지 잘 알고, 여러 탈출 경로를 사용하여 포식자로 부터 보호 할 수 있다는 재미난 정보를 알았습니다.

이 토끼들은 야행성인데 어둠속에서 쉽게 먹이를 찾고 돌아다닐 수 있고 낮에는 은신처에서 조용히 휴식을 취한다고 합니다. 계절별 환모 눈덧신토끼가 털갈이 할 때를 가리키는 용어인데 이것은 낮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면서 발생한다. 여름동안, 눈덧신토끼의 털은 얼룩덜룩한 갈색이다. 이로써 숲의 마른 덤블 속에 쉽게 숨을 수 있고 겨울에는 흰색 털이 자라 위장을 할 수 있습니다.
토끼는 포식자를 피하는 이런 수단을 사용해 보통 일정한 개체수를 유지할 수 있지만, 과학자들은 북미에서 눈덧신토끼의 개체수의 크기가 특이한 패턴으로 증감한다는것에 오랫동안 주목해 왔다.
'정보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동물] 미세먼지 많을 때 산책해도 괜찮을까? (2) | 2022.01.27 |
---|---|
[패션] 실루엣의 종류 -(1) 스트레이트 실루엣 (0) | 2022.01.26 |
눈의 수정체가 투명한 이유? (0) | 2022.01.26 |
필요한 중개자인 크릴새우 (0) | 2019.05.23 |
물감의 탄생 (0) | 2019.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