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의 수정체에 대한 오늘의 주제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사실 아주 극소수의 세포들만이 투명하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투명하다고 불리는 몇몇 세포들은 사실은 그렇지 않고 반투명하다고 한다. 사람들은 해파리가 투명하다고 믿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죠 반투명하다. 면밀한 해부학적 검사는 해파리가 반투명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빛이 세포를 통과할 수는 있지만 흩어지는 방식으로 통과한다는 재미난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알다시피 이 세포들을 통해 세상을 내다보면, 성에가 낀 유리처럼 어떤 것도 명확하게 볼 수 없을 것 입니다. 하지만 인간의 몸에 투명한 부분이 한군데 있다. 그것은 바로 우리 신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눈이다. 그러니까 눈 속의 수정체는 실제로 투명하다.
수정체를 투명하게 만드는 것이 무엇일까?수정체는 색소도, 멜라닌도, 수정체를 가로지르는 모세혈관도 없다고 한다. 하지만 연골도 멜라닌과 혈액 공급이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명하지 않다는 사실이 있다. 그래서 이런 것들, 색소가 없고 , 혈관이 없는 것은 투명성에 아주 작은 정도로 기여할지 모르지만, 이것이 인간의 수정체가 투명한 이유는 아니다.
수정체의 세포가 특이한 이유는 대부분의 세포는 우리 몸의 주요 장기들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특화된 구조인 세포기관을 세포안에 가지고 있다고 한다. 세포기관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 세포 안의 개별적인 개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눈의 수정체는 세포기관을 가지고 있지 않다. 만약 세포기관을 가지고 있었다면 이것은 아마 투명성을 잃게 되지 않았을까 하는 의문을 품게 되었습니다. 사실상, 수정체는 한 시점에 세포기관을 갖고 있었지만, 오직 자궁 안에 있는 태아기 동안에만 그렇다고 합니다. 태아가 발달하는 동안 수정체는 이 세포들을 파괴시켜 이를 세포 자살이라고 부른다. 수정체는 사실 자신의 세포를 죽일 수 있는 특별한 기제를 갖고 있다. 과학자들은 세포자살을 제어된 세포자살의 종류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러한 자살 기능은 전체 전멸이 일어나기 전 멈추기 때문에 제어가 가능하다.
그렇다면 수정체는 왜 이러한 기능을 하는것일 까요? 기능하는 세포기관들을 존재하도록 하는 구조가 없는 이 세포들을 빛을 굴절하도록 하는 투명성을 얻게 된다는 것이 분명할 것이다. 사실상, 수정체가 자살 임무를 마치고 나면, 세포들은 완전히 비어 있지 않는다. 크리스탈린이라고 불리는 특별한 단백질의 두터운 용액을 담고 있다. 단백질이 배열되어 있는데 아주 규칙적인 배열의 세포가 있다. 눈의 수정체에는 중심이 같은 20,000개의 얇은 층이 있다. 이러한 층들의 놀라운 균등성은 빛이 각막과 수정체에 부딪힐때, 흩어지지 않도록 도와준다. 그래서 단백질이 배열되어 있는 방식은 수정체의 굴절성을 증가시킨다. 한마디로 수정체의 세포기관의 파괴가 눈에 좋다고 말할 수 있다.
'정보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션] 실루엣의 종류 -(1) 스트레이트 실루엣 (0) | 2022.01.26 |
---|---|
눈덧신토끼가 포식자를 피하는 다양한 수단 (0) | 2022.01.26 |
필요한 중개자인 크릴새우 (0) | 2019.05.23 |
물감의 탄생 (0) | 2019.05.23 |
니트로 글리세린의 역사 (0) | 2019.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