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지식

순상화산의 형성과정과 종상화산의 모든것

갱이 2022. 1. 27. 18:49

순상화산에 대해 더 알아볼까요?

순상화산은 화구로부터 점성이 작고 유동성이 큰 용암이 나와 넓게 퍼져 흘렀을 때 생기는 완만한 경사의 화산을 말합니다.

순상화산의 가장 대표적인 산은 바로 백두산입니다.

용암이 분출하여 용암평원을 이루었으며 순상화산의 형태를 보여줍니다.

백두산

또한 하와이 마우나로아 산,

100만여년의 시간동안 현무암 성질의 용암이 분출되어 쌓여 만들어진 순상화산.

 

하와이 마우나로아 산

순상화산의 형성과정은 어떨까?

1. 산성물질이 적은 용암이 분출된다.

2. 산성물질이 적어 점성이 작은 용암이 흘러내린다.

3. 오랜시간 흘러내리며 쌓이고 굳어 완만한 경사의 화산이 형성된다.

 

그렇다면 종상화산은 어떻게 형성된것일 까?

종상화산은 화구로부터 점성이 강한 용암이 밀려나와 종을 거꾸로 엎어놓은 모양 같이 가파른 경사의 화산을 말하는데 완만한 경사의 순상화산과의 차이가 있다.

 

종상화산의 예로는 울릉도가 있다.

울릉도

울릉도는 섬 전체가 종상화산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울릉도는 사진과 같이 경사가 가파른 종상화산이다.

 

한라산 백록담

또한, 한라산의 백록담도 종상화산이다. 한라산은 대부분 순상화산이지만, 백록담은 종상화산이라고 한다는 점에서 신기했다.

백록담의 화구에서 점성이 강한 용암이 나와 백록담의 사진처럼 가파르게 만들었다고 한다. 

정리하자면, 

종상화산의 생성과정

1. 화구에서 점성이 강하고 산성이 센 용암이 분출된다.

2. 용암이 흘러내리면서 쌓인다.

3. 점성이 강해 넓게 퍼지지 못한다. 그 결과 가파른 형태의 종상화산이 형성된다.

 

반응형